안녕하세요. 방송실 희동이입니다.
20대 여성 모더나 접종 나흘 만에 사망, 백신 사망 사례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임용고시를 준비하던 한 20대 여성이 모더나 백신을 맞고
사망하는 일이 발생한 가운데 고인의 부친은
“당국이 아무런 사과도 없다” 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초등학교 교사를 꿈꾸던 A(23)씨는 잔여백신을 신청,
7월 26일 제주시의 위탁 의료기관에서
모더나 1차 백신 접종을 받았습니다.
A씨는 접종 4일 만인 7월 30일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후 뇌수술까지 받았으나 지난달 7일 결국 숨을 거뒀습니다.
고인의 부친 B(51)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딸은 지병 없이 평소 건강했고 공부를 마친 아이를 데려왔다.
집으로 가는 중에 ‘아빠, 나 숨차고 어지러워’라고 말하더니 쓰러졌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 탓에 면회 제한으로 임종을 앞둔
딸의 손을 잡아주지도 못한 채 딸을 떠나보내야 했다고 B씨는 전했습니다.
가족에게 더 큰 상처를 준 것은 정부의 무관심한 태도였습니다.
B씨는
“딸의 백신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제주도 방역 당국이
질병관리청에 부작용 관련 검사를 의뢰했음에도
질병청에서 관리를 거부한 일도 있었다”며
“정부 정책에 따라 접종한 뒤 이런 일이 벌어졌는데도
사후 관리나 지원은커녕 사과의 말도 없었다”고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인과성 입증에 대한 행정적 절차도 안내받지 못하는 등
답답한 부분이 너무 많다”며
“의학적으로 연관성을 판단하기에 앞서 도의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
"피해자에 대한 유연한 손해배상이 필요하며
유족에 대한 심리치료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B씨는
“아직 백신 접종 이상 반응 사례나 연구 결과가 많지 않으며
최근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사례와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며
“접종 인과성에 대해 기존의 발표와 자료만을 근거로
섣불리 판단하지 말고 향후 어떤 가능성이 나올지 모르니 진보적으로
개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씨의 사망이 백신 접종과 관련이 있는지는 현재 질병청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한편 청장년층의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백혈병, 부정출혈(하혈), 손발 저림과 마비증상 등 이상반응과
심지어 가족, 친지, 지인이 사망했다는 글이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비롯해 각종 온라인커뮤니티에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반응은 일관되고 있습니다.
‘해당 부작용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며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 근거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에 백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접종 기피현상이 일자 전문가들은
백신으로 인한 다른 질환 발생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해
접종 후 모니터링 강화, 올바른 정보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사에 대한 여론의 반응입니다.
질병관리청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9.4)
백신 이상 반응 사례입니다.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853건, 신경계 이상 반응 6,858 건
사망 사례 555건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로 전 세계 각국에서 중국에 청구한 손해 배상금은? (0) | 2021.09.06 |
---|---|
신 남성연대 유튜브 정지 논란 (0) | 2021.09.05 |
여성가족부 해체 청원, 해체해야하는 이유 (0) | 2021.09.05 |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 테러 (0) | 2021.09.03 |
부산대 조민 대학 성적 거짓 발표 논란 (0) | 2021.09.0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