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송실 희동이입니다.
오늘은 DP 케이블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부족하지만 공부하며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열심히 작성하겠습니다.
HDMI는 PC관련 업체가 아닌 히타치, 소니, 파나소닉과 같은 AV가전 업체들이 주축이 되어 개발한 것이었고, 이를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선스를 맺고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는 점이 PC관련 업체들에겐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리하여 PC관련 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HDMI에 대항할만한 새로운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약칭 DP)입니다.
DP는 DVI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달합니다. 그리고 영상뿐 아니라 디지털 음성도 하나의 케이블로 출력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크기가 작은 것이 HDMI와 유사합니다. DP는 2006년에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영상전자표준위원회)에서 첫 번째 표준(버전1.0)을 지정하며 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는데, 이는 인텔, AMD, 델, HP, 애플과 같은 PC 관련 업체들의 강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HDMI가 컴포지트나 컴포넌트와 같은 AV기기용 영상 인터페이스를 대신하는 목적이 컸다면 DP는 D-Sub나 DVI와 같은 PC용 영상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목적으로 태어났습니다. DP는 2012년 1.2 버전 기준으로 최대 17.28Gbps의 대역폭(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을 발휘하는데 이는 DVI(싱글링크 기준 3.96Gbps)의 4배를 넘고 HDMI(1.4 버전 기준 10.2Gbps)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덕분에 1920*1080의 풀 HD급은 물론 2560*1600이나 3840*2160과 같은 초고해상도 화면 그리고 3D 입체영상의 구현도 가능합니다.
DP의 또 다른 특징이라면 앞서 언급한 것처럼 디지털 음성도 하나의 케이블로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채널 스테레오 음성은 물론 5.1채널이나 7.1채널의 입체음향의 전송이 가능하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해 각 채널의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는 디코더(Decoder:압축해제기) 내장 엠프를 사용하면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DP를 갖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은 별도의 음성 출력용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DP 케이블만 있으면 모니터에 내장된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VESA에서 정한 영상 전송 표준 커넥터이며, 약칭으로 DP라고도 부릅니다. HDMI와 마찬가지로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음성 신호도 내보낼 수 있습니다. HDMI와 달리 특허 사용료가 없고 DVI에 대해 하위 호환성도 가지고 있고 HDMI보다 대역폭도 더 높다는 여러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HDMI가 시장에서 선점한 후 너무 늦게 등장하는 바람에 후발주자로 PC외에는 찾아보기 힘든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멀티 디스플레이, 전문가용으로는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DP 1.2지원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GTX 600 시리즈
- 엔비디아 지포스 GTX 700 시리즈
- 엔비디아 지포스 GTX 900 시리즈 및 타이탄 계열 제품들
- AMD 라데온 HD7000 시리즈
- AMD 라데온 R9/R7 시리즈
디스플레이 포트 1.0은 2006년 5월 3일에 승인되었습니다. 이후 2007년 4월 2일에 버전 1.1a, 2009년 12월 22일에 1.2가 승인되었습니다. 그리고 2014년 9월 15일에 1.3버전이 승인되었습니다.
■ DP 1.4 8K UHD에 HDR 전송 가능
2016년 3월 2일 발표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포트 1.4는 2014년 발표된 디스플레이포트 1.3과 동일한 32.4Gbps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대역폭 상승이 없다는 것은 전송 가능한 해상도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디스플레이포트 1.4에는 베사가 개발한 디스플레이 스트림 압축(DSC) 기술을 최초로 적용해 대역폭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디스플레이 스트림 압축(DSC) 기술은 화잘 손실 없이 3:1 수준의 압축율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32.4Gbps가 필요한 데이터를 1/3 수준의 대역폭만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만든 것인데 이를 통해 8K 60p는 물론 HDR 메타 데이터를 2차 데이터 패킷에 담아 전송할 수 있어 8K 60p HDR 영상의 전송은 물론 4K 120p HDR 영상까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또한 10비트 이상의 딥컬러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해 당분간 8K UHD 시태를 위한 유일한 솔루션이 될 전망입니다.
■ DP 특장점
- 차세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술 1~4회선의 마이크로 패킷구조, 클럭신호 임베디드가 가능합니다.
- 각종 어댑터를 사용하여 HDMI, RGB 신호를 출력 시킬 수 있습니다.
- DP는 라이센스 비용이 없습니다.
- 노트북, PC의 디스플레이와 메인보드 사이 연결과 내부 및 외부 연결용 인터페이스 선호를 한 장치 내에 통합하여 비용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이상 DP(Display Port) 설명을 간단히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o connector(오디오 커넥터) (0) | 2019.08.12 |
---|---|
Audio Cable(오디오 케이블) (0) | 2019.08.11 |
Thunderblot(썬더볼트) (1) | 2019.08.10 |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 | 2019.08.07 |
DVI(Digital Video Interface) (0) | 2019.08.0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