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송실 희동이입니다. 탈원전 뉴욕 전기료 4배 폭등, 뉴저지는 원전으로 전기료 인하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미국 뉴욕 주민들은 이달 전기료 고지서를 받고 깜짝 놀랐습니다. 전기료가 지난 12월~1월보다 최소 2배, 많게는 3~4배씩 올랐기 때문입니다. 맨해튼의 방 1개짜리 아파트에 사는 부부 A씨는 “겨울에 아무리 많이 써도 월 200달러 정도던 전기료가 이번 달 400달러가 됐다”며 “미터기가 고장 난 줄 알았다”고 말했습니다. 롱아일랜드 단독주택에 사는 B씨도 “1월에 전기료를 300달러 냈는데 이달에 850달러 냈습니다. 다음 달엔 1000달러가 넘을 것 같다”며 “가뜩이나 인플레로 힘든데 전기료는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뉴욕 지역방송엔 매일같이 주부와 상인들이 나와 성토합니다. “전기료 아끼려 건조기를 안 쓰고 빨래를 널었는데, 난방도 못하다보니 빨래가 얼어버렸다” “온 가족이 양말에 털신을 껴신고, 두꺼운 이불 덮고, TV도 안 본다” “인건비에 전기료까지 올라 음식 값을 안 올릴 수 없다”고 합니다. 뉴욕주정부와 의회는 “전력 회사의 가격 담합을 조사하겠다” “서민 전기료를 지원하자”며 비상이 걸렸습니다.
뉴욕시의 주요 민간 전력업체 콘에디슨에 따르면 kWh당 기본 전기료가 지난 연말 최대 20센트에서 현재 40센트(480원)로 두 배 올랐습니다. 여기에 전기 사용량과 시간대에 따라 누진율이 적용돼 3~4배의 ‘전기료 폭탄’이 터지고 있습니다. 뉴욕 공공서비스국에 따르면 현재 130만 가구가 총 17억달러(2조294억원)의 전기료를 연체하고 있습니다.
전기료 급등의 직접적 이유는 뉴욕 발전원의 75%를 차지하는 천연가스 가격이 최근 90%나 올랐기 때문입니다. 바이든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며 셰일가스 등 화석연료 관련 보조금을 폐지한 데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기로 세계 가스값이 크게 올랐습니다.
더 근본적인 이유는 뉴욕의 탈(脫)원전 때문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과 폴리티코 등은 지적합니다. 뉴욕시는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원자력 발전에 의존했습니다. 맨해튼 북쪽으로 60㎞ 떨어진 ‘인디언 포인트’ 원전 3기가 59년간 가동됐는데,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뉴욕을 장악한 민주당과 환경단체가 지난해까지 모두 멈춰 세웠습니다.
대서양을 끼고 있는 뉴욕은 풍부한 수력·풍력·태양광 발전을 대안으로 내세웠지만, 원전만큼 값싸고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엔 턱없이 모자랐습니다. 그 공백을 화석연료인 천연가스가 메우게 되었습니다. 가스 발전 탓에 뉴욕주의 탄소 배출량은 2019년 2400만t에서 2021년 2850만t으로 되레 늘어났습니다. 뉴욕 매거진은 “탈원전과 녹색 경제는 같이 갈 수 없는 명제”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뉴욕시에서 서쪽 허드슨강을 건너 차로 10여 분 떨어진 뉴저지주는 딴판입니다. 뉴저지에선 뉴욕 A씨 집보다 큰 방 2개짜리 아파트에서 이번 달 낸 전기료가 53달러였고, 취사·난방을 전기로만 하는 비슷한 크기의 주상복합도 200달러를 넘지 않는다고 합니다. 현재 뉴저지의 kWh당 전기료는 13센트(150원)로, 뉴욕의 3분의 1이 안 됩니다. 심지어 뉴저지 최대 전력업체 PSEG는 지난해 여름부터 “생산 단가를 절감했다”며 가정용 전기료를 소폭 인하했습니다. 미국은 주별로 발전 방식이 다르고, 같은 주 안에서도 민영 전력 공급 사업자가 여러 곳 경쟁합니다.
뉴저지는 전력의 70%를 원전에서 공급받습니다. 원래 천연가스와 원자력 비중이 반반이었는데,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맞추려 최근 가스 비중을 크게 줄였습니다. 뉴저지도 한때 탈원전을 검토했으나 “원전을 없애면 화석연료 의존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주민 반대로 ‘호프 크릭’ 등 원전 3기를 그대로 가동했습니다. 뉴저지주는 올해부터 연 3억달러의 원전 산업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고, 2018년 폐쇄한 ‘오이스터 크릭’ 원전 터에 차세대 원전인 SMR(소형모듈원전)-160 원자로를 신규 건설키로 결정했습니다.
이런 극단적인 사례를 본 미국의 다른 주들은 원전 수명 연장과 재가동, 소형 원전 도입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최대 주 캘리포니아주도 2050년까지 모든 원전을 폐쇄하려던 계획을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효리가 파스타에 넣은 소고기보다 비싼 식물은? (0) | 2022.05.16 |
---|---|
페이스북 과거 댓글 삭제하는 방법 (0) | 2022.05.15 |
오늘의 방역수칙을 알려주는 사이트(오늘의 방역) (0) | 2022.02.03 |
LG에너지솔루션 공모 청약 시작 (0) | 2022.01.17 |
자동차 오래 탈 수 있는 꿀팁 (0) | 2022.01.08 |
최근댓글